in Brief
•
1, 2기 동시 미팅 진행
•
디스코드에서 첫 온라인 화상 미팅
•
과제 브리핑 - 모바일 접속은 화면 공유 불가로 PC 접속이신 분들만 발표
◦
[미로] 유락 로고로 꼴라쥬 형식으로 컨셉잡아 작업, 다양한 컨셉으로 꾸준하게 작업 예정
◦
[Leezy] 다른 사진 NFT와 차별화를 고민하다가 미니어쳐 기법을 적용해보려고 함. 스토리텔링은 좀 더 정리를 할 예정.
◦
[곰방] 기존에 오픈씨에 업로드된 이미지에 통일성을 부여하여 스토리텔링을 보완해야겠다. SNS 마케팅도 시작해야겠다.
◦
[우엉] 픽셀아트에 레이어를 계속 쌓아나가며 디벨롭중. 배경을 넣어 점차적으로 완성도를 높여가겠다. 제너레이팅도 시도할 것.
◦
[안귤] 기존 그래픽에서 새로운 과일과 함게 그림자나 패턴 등 디테일을 추가했다.
•
인스타그램 마케팅 : 인플루언서 입장이 아니라 커뮤니티 입장에서 운영을 해야한다.
◦
경쟁사 분석 : 비슷한 컨셉의 계정 찾아 벤치마킹하여 적용
◦
컨셉&톤앤매너 설정 : 이미지 톤, 말투 등 설정
◦
프로필 설정 : 짧고 굵은 명확한 소개와 해시태그, 외부링크, 하이라이트 등 컨셉에 맞게 편집
◦
진정성 있는 콘텐츠 - 타겟에게 어떤 가치를 줄 수 있을지?
▪
재미, 정보, 공감, 동기부여
◦
콘텐츠에 맞는 해시태그 : 세부해시태그 먼저 공략, 이미지 등록시 위치, 사람, 태그 많이 걸기
◦
관련 계정끼리의 소통
◦
꾸준한 업로드 : 포스팅 계획을 세워보자(1일1포스팅), 사진보다는 영상이 노출이 잘됨.
◦
기타
→ 해당 내용을 기반으로 과제할 것
•
리지님의 인스타그램 노하우
◦
기본적으로 인스타그램은 관계, 소통을 중요시
◦
초반에는 관련 계정에 먼저 찾아가 소통하는 것이 필요 (새로운 계정이 노출이 잘된다)
◦
대형 키워드보다 세부 키워드를 먼저 공략하자.
▪
ex) #NFT → #nftkorea, #nftkorean, #nftkoreanartist 등
◦
본문 안에 해시태그를 넣는 것과 댓글로 해시태그를 다는 것은 노출여부와 관계 없음 (어느쪽이든 상관없다.)
◦
댓글로 해시태그를 달고 댓글 기능을 없애도 콘텐츠 노출이 된다. (꿀팁)
◦
부업 계정이나 가계정이랑은 소통하지 않음
◦
관련된 계정 팔로잉을 많이 한다. (팔로잉 숫자에 크게 연연하지 않음)
◦
동일한 해시태그를 너무 많이 사용하면 인스타그램 측에서 봇으로 인식해 ban을 당할수도.
•
곰방님의 마케팅 노하우
◦
마케팅의 가장 기본은 블로그
▪
인스타그램은 블로그와 유사한 알고리즘이 사용된다.
▪
매일 일기쓰듯 올려야 한다.
◦
유튜브
▪
하위 키워드보다 대중적인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
•
ex) 연남동 카페 → 연남동
▪
태그보다는 제목이 중요
▪
채널 컬러도 영상에 맞게 편집하기
•
ex) 워크맨
▪
해시태그를 많이 올리면 독이다. 10~15개 정도가 적당
▪
미리보기에서는 2-3개만 보이기 때문에, 제일 중요한 것을 눈에 띄게 편집
•
기타
◦
주로 NFT 를 구매하는 고객은 트위터에 더 많은 것 같다. 인스타그램에서는 NFT를 어떻게 구매하는지도 모르는 유저들이 많다고 하는데, 왜 인스타그램을 주요 SNS 채널로 삼았는지?
▪
인스타그램은 이미지 기반의 SNS 이기도하고, 관리 측면에서의 접근성과 홍보 유입 측면에서 설정을 했다. 다른 채널을 배제하겠다는 것은 아니고, 각 채널별 계정은 전부 연동시켜놔야 한다. 메인 채널이 어느 정도 커지면 다른 채널(트위터, 디스코드)도 마케팅 스터디를 할 것. 필요성을 느낀다.
◦
한달 단위로 챌린저스를 설정하여 스터디를 진행하려고 한다.
◦
정규 커리큘럼 스터디가 끝나면 이후 연장스터디는 함께 하려고 한다.(기수 상관X)
▪
커뮤니티 운영, SNS 마케팅 등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꾸준히 같이 하자.
◦
3기
▪
7/4부터 시작이며, 모집은 이번 주말쯤부터 시작하려고 한다. → 내용 정리 필요
▪
세모람 커뮤니티와 함께 진행하려고 한다.
▪
창작자가 아닌 분들은 어떤 식으로 본인의 NFT 아트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 다양한 방식을 제안해 주어야 할 것 같다. 고민이 더 필요.
▪
디스코드에서만 소통을 해보려고 한다.
◦
2기 아쉬운 점
▪
과제 체크를 해주는 사람이 없어서 맞는 방향으로 진행이 되고 있는지 헷갈린다.
•
온라인 미팅에 빠지면 과제 확인이 안된다는 것도 아쉬웠다.
▪
4주라는 기간이 너무 짧아서 인증하기에 급급했던 것 같다
▪
짧은 기간내에 NFT, 컨셉 기획 등 압박감이 있었던 것 같다
▪
다른 기수와 소통이 안되는 점이 아쉽다
→ 짧은 기간과 커리큘럼이 타이트하게 설정한 것은 리더 잘못. 3기에는 보완하여 반영하겠다.
•
디스코드 미팅
◦
디스코드에서 일부 유저끼리는 음소거 상태로 소통이 원활하지 않았음
◦
모바일에서는 화면 공유가 안됨
◦
화면 공유시 약간의 딜레이가 있다.
◦
줌처럼 다른 사람들 목소리가 하울링됨
◦
해당 채널 안에서 채팅 기능이 없는 것도 아쉬웠다. (but 음성 채팅 접속한 상태로 다른 채널에서 채팅 가능)